카테고리 - 기타
MRI를 찍어봐야 한다고 하시는데 MRI 조영제 부작용이 있을까요?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ㅠㅠ
좋아요
- 답변일
- 2025-05-10
- 조회수
- 2,927회
- 좋아요
- 16회
안녕하세요.
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.
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.
조영제 부작용
1. 과민반응
• 조영제 주입 후 바로 얼굴, 가슴, 복부에 후끈거림, 조영제 주입부위에 약간의 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
이런 반응은 조영제가 혈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느끼는 정상적인 반응이나 심한 거부감을 느낄 경우,
바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합니다.
• 조영제의 유해반응으로 나타나는 과민반응은
- 구역, 구토, 두드러기, 가려움 등 경미한 증상부터
- 기관지수축, 안면/후두 부종, 혈관미주신경반사로 인한 실신, 호흡정지(아나필락시쇽) 등 중증의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
▴ 경증의 과민반응이라도 중증으로 진전될 수 있으므로 과민반응 증상이 나타나면
즉시 의료진에게 알려 적절함 응급조치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.
▴ 과민반응은 주입한 조영제의 량 및 투여 방법과는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• 과민반응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검사 전에 의료진에게
- 현재 복용하고 있는 의약품
- 알레르기/천식 등의 병력
- 과거 조영제 투여 시 과민반응 발생 여부를 알려 적절한 예방조치를 받도록 합니다.
▴ 알레르기나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조영제를 투여할 때는
힝히스타민제나 코르티코이드를 먼저 투여할 수 있습니다.
이러한 예방조치로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의 과민반응을 예방하기 어려우나 발생빈도와 증상의 중증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.
2. 신독성
• 요오드계 조영제는 일시적으로 신기능을 변화시키거나 기존의 신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- 탈수, 신부전, 심근경색 등으로 인해 기존에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나
70새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• 다음의 질환을 앓고 있거나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, 주의가 필요하니 검사 전에
의료진이나 검사 담당자에게 자세히 알리도록 합니다.
- 신장질환 - 당뇨병 - 단백뇨 - 탈수증
- 심부전 - 간경변 - 식독성 약물 - 메트포르민이 포함된 혈당강하제
▴ 메트포르민 등 비구아니드계 약물을 투여하고 있는 당뇨병 환자는 유산산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
반드시 의료진에게 복용여부를 알리고 의료진의 조치에 따라 혈청 크레아티닌 모니터링을 통해 신기능을 확인한 후
약물 복용여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.
참고해보시고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기 바랍니다.
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.
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[좋아요] 버튼을 눌러주세요.
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.
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.
조영제 부작용
1. 과민반응
• 조영제 주입 후 바로 얼굴, 가슴, 복부에 후끈거림, 조영제 주입부위에 약간의 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.
이런 반응은 조영제가 혈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느끼는 정상적인 반응이나 심한 거부감을 느낄 경우,
바로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합니다.
• 조영제의 유해반응으로 나타나는 과민반응은
- 구역, 구토, 두드러기, 가려움 등 경미한 증상부터
- 기관지수축, 안면/후두 부종, 혈관미주신경반사로 인한 실신, 호흡정지(아나필락시쇽) 등 중증의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
▴ 경증의 과민반응이라도 중증으로 진전될 수 있으므로 과민반응 증상이 나타나면
즉시 의료진에게 알려 적절함 응급조치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.
▴ 과민반응은 주입한 조영제의 량 및 투여 방법과는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• 과민반응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검사 전에 의료진에게
- 현재 복용하고 있는 의약품
- 알레르기/천식 등의 병력
- 과거 조영제 투여 시 과민반응 발생 여부를 알려 적절한 예방조치를 받도록 합니다.
▴ 알레르기나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조영제를 투여할 때는
힝히스타민제나 코르티코이드를 먼저 투여할 수 있습니다.
이러한 예방조치로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의 과민반응을 예방하기 어려우나 발생빈도와 증상의 중증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.
2. 신독성
• 요오드계 조영제는 일시적으로 신기능을 변화시키거나 기존의 신부전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- 탈수, 신부전, 심근경색 등으로 인해 기존에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나
70새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.
• 다음의 질환을 앓고 있거나 약제를 복용하는 경우, 주의가 필요하니 검사 전에
의료진이나 검사 담당자에게 자세히 알리도록 합니다.
- 신장질환 - 당뇨병 - 단백뇨 - 탈수증
- 심부전 - 간경변 - 식독성 약물 - 메트포르민이 포함된 혈당강하제
▴ 메트포르민 등 비구아니드계 약물을 투여하고 있는 당뇨병 환자는 유산산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
반드시 의료진에게 복용여부를 알리고 의료진의 조치에 따라 혈청 크레아티닌 모니터링을 통해 신기능을 확인한 후
약물 복용여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.
참고해보시고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기 바랍니다.
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.
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[좋아요] 버튼을 눌러주세요.
궁금하넷 지식 BEST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![]() |
|
제가 요새 피곤을 많이 느껴서 동료들이 솔가 남성용 멀티비타민 챙겨먹오보라고 해서 구매했는데 복용하는 방법 알려주세요! |
![]() |
![]() |
|
![]() |
2025-05-10 02:20:56
MRI를 찍어봐야 한다고 하시는데 MRI 조영제 부작용이 있을까요?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ㅠㅠ : 궁금증 해결은 궁금하넷
댓글 16